본문 바로가기
주식분석

롯데하이마트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by #$@d 2021. 1. 14.
반응형

롯데하이마트(071840)

롯데하이마트 주가 전망 투자분석
롯데하이마트 주가 전망 투자분석

롯데하이마트 기업개요

롯데하이마트 기업개요
롯데하이마트 기업개요

개요 : 국내 전자 및 가전제품 전문 유통업체
- 동사는 1987년 7월 가전제품 도/소매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12년 10월 롯데쇼핑(주)에 인수됨에 따라 현 상호로 변경되었음.
- 동사의 최대주주는 2008년 유진기업으로 변경된 후 2012년 10월 롯데쇼핑으로 다시 바꼈으며, 상호도 롯데하이마트로 변경함.
- 459개의 직영점 운영 및 온라인몰을 통해 가전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온/오프라인 옴니 채널 활성화에 주력 중.
- 전자제품 전문점 업계에서 1위, 온라인 가전제품 판매 1위로서 최고의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음.
- 업계 1위 카테고리킬러업체로서 규모의 경제실현과 최고의 브랜드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가격과 최고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음.

 

현황 : 매출 소폭 감소하였으나 수익성 상승
- 정부의 으뜸효율가전 환급정책에도 COVID-19 확산에 따른 점포 내방객 수 감소와 일부 점포 폐점 등으로 외형은 전년동기대비 소폭 축소.
- 원가구조 개선과 광고선전비 등 판관비용 감소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상승하였으며, 유무형자산손상차손 발생 등에도 순이익률 상승.
- 홈인테리어 관심 증가에 따른 대형가전의 수요 회복 등으로 외형 성장이 기대되며, 점포의 구조조정 본격화 등으로 수익성 향상 추이도 이어갈 듯.

롯데하이마트 차트

롯데하이마트 주가 일봉차트
롯데하이마트 주가 일봉차트
롯데하이마트 주가 주봉차트
롯데하이마트 주가 주봉차트
롯데하이마트 주가 월봉차트
롯데하이마트 주가 월봉차트
롯데하이마트 주가 1년차트
롯데하이마트 주가 1년차트
롯데하이마트 주가 3년차트
롯데하이마트 주가 3년차트
롯데하이마트 주가 5년차트
롯데하이마트 주가 5년차트
롯데하이마트 주가 10년차트
롯데하이마트 주가 10년차트

롯데하이마트 외국인·기관 순매매 거래량

롯데하이마트 외국인 기관 순매매 거래량
롯데하이마트 외국인·기관 순매매 거래량

롯데하이마트 재무제표

롯데하이마트 재주제표1
롯데하이마트 재무제표
롯데하이마트 재주제표2
롯데하이마트 재무제표

롯데하이마트 주가 전망

롯데하이마트 주가 전망
롯데하이마트 주가 전망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45,000원으로 상향
롯데하이마트에 대한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45,000원으로 상향한다. 목표주가 상향은 추정기간 변경에 따라 이루어졌다. 전방산업 호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시장지배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한다. 동사는 오프라인 효율화 및 온라인 채널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어 산업 대비 성장률은 낮을 수 있다. 하지만, 오프라인 효율화가 마무리되고 온라인 점유율이 빠르게 증가되는 만큼 향후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판단한다.

목표주가 4.7만원, 투자의견 '매수' 유지
롯데하이마트는 견조한 실적 개선에도 불구하고 주가 모멘텀은 약하다. 가전교체 수요 둔화에 대한 우려와 사업구조의 한계(점포수/가격정책/신규사업) 때문이다. 하지만, i) 실적은 예상보다 좋고, ii) 오프라인 구조조정 효과는 분명하며, iii) Q 증가에 의한 지속적인 실적 모멘텀 가능성도 기대할 수 반면, iii) 현재 주가는 12MF PER 6.3배로 여유 있는 수준이다. 비중 확대가 유효하다.

롯데하이마트 투자분석

4분기 영업실적 긍정적

롯데하이마트는 4분기 실적 성장은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당초 당사의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한다. 4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4.0% 성장한 9,724억 원, 영업이익은 235억 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70.4%에 달할 것으로 추정한다. 4분기 긍정적 실적이 예상되는 이유는 1) 대형가전 판매 호조가 유지
되고 있고, 2) 모바일 판매량이 회복되면서 1~3분기 대비 개선되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고, 4) 대형가전 이외 식기세척기, 건조기 등 생활가전 침투율이 빠르게 진행중이며, 4) 광고선전비 및 고정비 감소 효과와, 5)
비수익 점포 폐점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보고서에서는 모바일 판매량 회복이 더디게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였지만, 11~12월 모바일 판매량이 회복된 것으로 파악되어 성장률을 소폭 상향하였다.

4분기 영업이익 YoY 238% 증가 전망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대비 4%, 238% 증가한 9,710억원과 210억원 수준이 가능할 전망이다. TV와 빨래건조기, PC 카테고리 매출이 YoY 10% 이상 성장하면서 외형 성장을 견인할 전망이다. 12월에는 휴대폰 매출이 크게 증가했고, 4분기 전체적으로 의류 관리기 매출이 YoY 80%까지 증가하면서 매출 비중 5%까지 상승하면서 실적 기여도를 높였다. 오프라인 점포수는 448개로 YoY 18개 줄었지만(신규 8개/폐점 26개), 온라인 매출 비중이 15%까지 올랐다. 점포당 매출 성장률이 제고되고 있고, 온라인 채널이 추가적인 외형 성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오프라인 고정비 부담 완화로 판관비가 YoY 107억원 감소하면서 영업이익률은 2.2%(YoY 1.5%p)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

2021년 관전 포인트 두가지

첫째, 가전 수요가 언제까지 좋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다. 2020년 매출을 P와 Q로 구분해보면 P 상승이 전체 성장률의 70~80%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뭘 더 산 게 아니고 좀더 비싼 걸 산 것이다. 추가적인 Q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하는 대목이다. 전년도 베이스가 높아지는 2분기 매출이 기대를 넘어선다면, 이런 가능성이 정당화되면서 주가 모멘텀으로 작용할 수 있다. 둘째, 오프라인 점포 구조조정 효과는 평가받을 만하다. 2021년에도 20여개 비효율 점포를 스크랩 할 수 있다. 오프라인 점포가 줄어들면서도 외형 성장률이
5% 이상 지속하면서 수익성이 제고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다.

가전시장 호황기는 당분간 지속

가전시장의 호황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그 이유는 1) 2020년 성장률이 하반기로 접어들수록 확대되는 추세를 보여주었고, 2) 생활가전 품목군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3) TV가전 수요가 유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코로나 19가 가전 수요를 증가시킨 부분 은 있지만, 구조적으로 가구수 증가가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분석한다.

 

*본 포스팅은 정보전달의 목적으로 작성된 것임을 분명히 명시하며,
종목에 대한 정보의 사실관계는 개인이 판단해야함.
상기 종목의 언급이 투자의 권유가 아니며, 본인의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 또한 지지 않음을 명시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