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003670)
포스코케미칼 기업개요
개요 : 국내 유일의 음극재 생산업체
- 동사는 내화물의 시공 및 보수, 각종 공업로의 설계, 제작 및 판매, 석회제품 등의 제조 및 판매 등을 목적으로 1971년 설립.
- 1994년에 염기성내화물의 제조와 판매 등의 사업을 주목적으로 설립된 삼화화성을 흡수합병함.
- 포스코그룹 계열의 종합내화물 업체로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로 재정비 사업과 생석회, 음극재, 화성품 가공, 화성공장 위탁 운영 등의 라임케미칼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기업집단 포스코 그룹의 계열사로 기업집단에 소속된 회사는 총 34개임. 국내 내화물 시장에서 약 22%(2018년 기준)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내화물(제조 및 공사)과 생석회는 모기업인 포스코의 철강 생산에 필수적인 소재로 주 거래처인 포스코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매출이 발생하고 있음.
- 2차전지소재 사업의 비중이 확대되는 가운데 OCI와의 합작을 통해 과산화수소를 생산하는 공장을 2022년 경에 완공할 예정으로 사업영역 다양화 중.
현황 : 원가율 하락 및 지분법 손실로 수익성 하락
- 주력 내화물 부문과 라임케미칼 부문의 부진에도 2차전지 소재인 음극재, 양극재 수주의 양호한 증가로 전년동기대비 매출 소폭 증가.
- 원가율 상승으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하락, 법인세 감소에도 관계기업 피엠씨텍의 지분법손실로 순이익률도 큰 폭 하락.
- 글로벌 경기회복세와 철강재 수요 증가에 따른 내화물 및 라임케미칼 수주 증가, 2차전지 시장 성장에 따른 음극재 수요 증가로 매출 성장 전망.
포스코케미칼 차트
포스코케미칼 외국인·기관 순매매 거래량
포스코케미칼 재무제표
포스코케미칼 주가 전망
투자포인트 및 결론
- 20년 4분기 영업이익 232억원으로 예상되며 당사 추정치는 컨센서스 수준.
- 올해부터 2차전지 소재 부문의 매출액과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동사 실적 증가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됨.
- 투자의견 BUY 및 목표주가 152,000원(기존 100,000원) 제시.
동사에 대한 목표주가 151,000 원으로 상향
동사에 대한 목표주가 151,000 원, 투자의견 BUY 로 상향한다. 이는 2 차전지 관련 기업들의 주가 상승에 따른 멀티플 상향 조정에 의한 것이다. 동사는 단기보다는 장기적으로 좀 더 의미있는 소재 기업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현재 EV 관련 기업에 대한 우호적인 투자 환경이 지속되고 있어 2021 년 동사 또한 긍정적인 주가 흐름이 예상되는 바이다.
주가전망 및 Valuation
- 장기적으로 동사의 실적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매수 및 보유 투자전략이 유효하다고 판단.
- 목표주가 152,000원은 사업부문별 가치 합산방식으로 산출함. 당사의 목표주가는 21년 예상실적 기준 P/B 6.8배이며 역사적 밴드의 상단이나 성장성을 고려하였을 때 과도하지는 않다고 판단됨.
포스코케미칼 투자분석
주요이슈 및 실적전망
- 20년 4분기 매출액 4,517억원, 영업이익 232억원으로 영업이익은 전년동기수준, 전분기대비 +21% 예상됨. 기존 사업부의 실적은 안정되고 2차전지 소재 부문의 실적 및 수익 증가가 예상됨.
- 올해 매출액 1조 9,590억원, 영업이익 1,234억원으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각각 +25%, +96%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차전지 소재 부문 실적 증가가 배경. 양극재 생산능력은 19년 1.5만톤, 20년 4만톤에서 22년 9.8만톤, 25년 21만톤으로 확대. 음극재는 19년, 20년 4.4만톤에서 22년 7.4만톤, 25년 17만톤으로 증가. 22년 NCMA, 23년 인조흑연 음극재 생산능력을 갖춰 동사 경쟁력 강화에 기여.
- POSCO의 계열사로서 동사의 성장 투자에 대규모 자금이 소요되나 차입에 전적으로 의존할 필요가 없어 궁극적으로 주주가치에는 긍정적으로 평가됨.
4Q20 Preview: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부합 실적
동사는 2020 년 4 분기 매출액 4,155 억원(+6.9% QoQ, +7.4% YoY), 영업이익 241 억원(+24.2% QoQ, +2.6% YoY)으로 컨센서스 대비 부합하는 실적이 예상된다. 동사의 4 분기는 철강 사업부문의 실적 정상화, EV 배터리 수요 증가에 따른 음극재, 양극재 외형 확대가 기대된다. 다만, 음극재 소재인 흑연의 경우, 해마다 단가 하락이 지속되고 있으며 양극재의 경우, 니켈, 코발트 가격 상승으로 인하여 큰 폭의 수익성
회복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양극재의 경우, EV 용 신규공장 가동 이후 악화되었던 수익성이 서서히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전분기 대비 적자폭이 축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장기적으로 볼 때, 더 매력적이다.
현재 EV 배터리 소재에 대한 투자 포인트는 1) 기술력, 2) 마진 유지이다. 동사는 NCM 양극재와 천연흑연 음극 소재를 통해 EV 배터리 산업에 진입했다. 그러나 현재 음극 소재쪽은 에너지밀도를 높이기 위해 실리콘 비중을 늘리고자 하며 그 외의 음극소재에 대해서는 단가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음극재쪽으로 업사이드를 주기에는 애매한 상황이다. 동사의 양극재 또한 기술적으로 앞서 있지는 않다. 다만, 2022 년 NCMA 양극재에 대한 생산공장 완공 후 미국 GM 과 LG 에너지솔루션 합작사인 Ultium Cells 로의 공급 시작, 장기적으로 포스코 그룹으로부터 소재 사업 등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되어 단기보다 장기적인 매력도가 높다.
*본 포스팅은 정보전달의 목적으로 작성된 것임을 분명히 명시하며,
종목에 대한 정보의 사실관계는 개인이 판단해야함.
상기 종목의 언급이 투자의 권유가 아니며, 본인의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 또한 지지 않음을 명시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주식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케이 이노베이션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1.17 |
---|---|
유니셈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1.16 |
롯데하이마트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1.14 |
컴투스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1.13 |
한화시스템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