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산네오룩스(213420) 주가 전망
덕산네오룩스 기업개요
개요 : 덕산하이메탈로부터 분할되어 설립
- 2014년 12월 30일을 분할기일로 하여 덕산하이메탈(주)의 AMOLED 유기물 재료 및 반도체 공정용 화학제품을 제조/판매하는 화학소재사업부문을 덕산네오룩스(주)로 분할 재상장함.
- 덕산하이메탈(주)의 금속소재 사업부문(솔더볼)과 화학소재 사업부문(EL소재)이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음.
- AMOLED 유기물 재료 및 반도체 공정용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화학소재 사업체로, 충남 천안시 서북구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음.
- 주요 제품으로 AMOLED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HTL(정공수송층), HIL(정공주입층), RED HOST 등이 있으며, 주요 매출처는 삼성디스플레이임.
현황 : 양호한 매출 신장 및 우수한 수익구조 견지
- 전방산업의 부진에도 중국 스마트폰 내 OLED 패널 침투율 증가에 따른 관련 소재 수주 호조 등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대비 확대.
- 양호한 외형 성장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크게 상승, 법인세비용 증가에도 금융수지 개선 등으로 순이익률 크게 상승.
- 차세대 아이폰의 전량 OLED 탑재와 이에 따른 삼성디스플레이 OLED라인 가동률 상승, 중국 업체들의 OLED 양산 본격화 등으로 외형 성장세 지속될 듯.
덕산네오룩스 차트
덕산네오룩스 외국인·기관 순매매 거래량
덕산네오룩스 재무제표
덕산네오룩스 주가 전망
매수 투자의견 유지, 목표주가 52,000 원으로 상향 조정
동사에 대한 목표주가는 21 년 실적 추정치를 상향함에 따라 52,000 원으로 조정하고,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한다. 목표주가는 21 년 예상 EPS 에 지난 3 년간 중상단 P/E 배수 평균인 26.3 배를 적용하여 산출했다. 향후 중장기적인 OLED 소재 수요 증가의 방향성을 고려할 때 높은 Multiple 의 적용에 무리가 없다고 판단된다. 주력 고객사의 iPhone 의 OLED 패널 전량 채택 효과 연간 반영, IT/TV 로의 OLED Application 확대 등을 고려하면 실적 성장에 대한 의심의 여지는 없다. 최근 주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21 년 예상 실적 기준 P/E 19.9 배로 과거 평균 수준 대비 저평가 되어있어 상승 여력이 클 것으로 판단되는 바 동사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하며 적극적인 비중 확대 전략을 추천한다.
투자의견 Buy, 적정주가 48,000 → 54,000원으로 상향
2021년 EPS(1,777원)에 적정 PER 30.4배를 적용하여 적정주가를 54,000원으로 12.6% 상향한다. 적정 PER은 공급 품목수 확대로 실적 증가를 보였던 ‘16~’17년 12M Fwd PER의 평균이다. 고객사 다변화와 노트북, 차량용 디스플레이, QDOLED 등 OLED 어플리케이션의 확대, ‘22년 Apple의 iPad OLED(1개 모델) 적용으로 지속적인 매출액 성장이 예상된다. 글로벌 OLED소재 업체는 10개 내외로 기술 진입장벽이 높아 신규 업체의 진입은 제한적이다. OLED 적용처 확대와 중국 패널 업체의 생산능력 증가로 생존한 소재업체의 멀티플 리레이팅이 예상된다.
덕산네오룩스 투자분석
삼성디스플레이 OLED 가동률 상승 효과로 4Q20 호실적 기록
동사 4Q20 실적은 매출액 435 억원(YoY: +57%, QoQ: +7%), 영업이익 143 억원(YoY: +56%, QoQ: +29%)으로 시장 기대치(매출액 394 억원, 영업이익 109 억원)를 크게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했다. 전분기, 전년 동기 대비 가파른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뚜렷했다. 지난 10 월에 출시된 iPhone 신제품 전량에 Flexible OLED 가 채택되면서 주력 고객사인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 OLED 가동률이 큰 폭으로 상승했고, 판매 호조세까지 보이며 물량 확대와 고정비 부담 완화 효과가 뚜렷했기 때문이다. 당사는 삼성디스플레이의 20 년 하반기 iPhone 향 OLED 패널 출하량이 전년의 4,150 만대에서 약 60% 증가한 7,000 만대 수준까지 확대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BOE, CSOT 등 중국 패널 업체들의 Flexible OLED 패널 양산이 점차 본격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중화향 OLED 소재 수요가 꾸준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OLED 소재 수요 증가에 따른 중장기적인 실적 성장이 기대된다
최근 원-달러 환율 하락세가 나타나고 있지만 동사의 이익 성장세는 2021 년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특히 계절적 최대 비수기인 1Q21 실적도 양호할 것으로 추정된다. 예년에 비해 iPhone 신제품 출시가 약 한달 가량 지연되었고, 수요가 견조하게 이어지면서 통상적으로 나타나던 1 분기 부품 재고 조정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삼성전자 Galaxy S 21 출시가 앞당겨진 것도 OLED 패널 수요에 긍정적인 요인이다. 이를 반영한 1Q21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80 억원(YoY: +20%, QoQ: -13%), 105 억원(YoY: +53%, QoQ: -27%)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중국 패널 업체들의 중소형 OLED 라인 가동률 상승과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TV 패널 양산 본격화는 동사의 중장기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2023 년 전세계 중소형 OLED Capa.는 중국 업체들의 공격적인 증설로 2020 년 대비 1.5 배 가량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현재 가동률이 낮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 패널 생산량 증가에 따른 소재 수요 성장은 더욱 클 수 있다. 동사는 이미 19 년 하반기부터 중국향 매출 비중이 확대되면서 뚜렷한 실적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OLED TV 의 경우 대당 소재 사용량이 스마트폰용 OLED 패널 대비 약 350 배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올해 하반기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패널 양산 가능성에 대해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포스팅은 정보전달의 목적으로 작성된 것임을 분명히 명시하며,
종목에 대한 정보의 사실관계는 개인이 판단해야함.
상기 종목의 언급이 투자의 권유가 아니며, 본인의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 또한 지지 않음을 명시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주식분석] - HDC현대산업개발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HDC현대산업개발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HDC현대산업개발(294870) 주가 전망 HDC현대산업개발 기업개요 개요 : 2020년 시공능력평가 9위 - 동사는 2018년 5월 현대산업개발에서 HDC와 HDC현대산업개발로 분할되었으며 건설사업부문, PC사업부문,
yesmard.tistory.com
미래에셋대우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미래에셋대우(006800) 주가 전망 미래에셋대우 기업개요 개요 : 자기자본 1위의 대형 증권사 - 금융투자업을 영위하며 상품제조, 트레이딩 역량 등 다양한 부분에서 경쟁력을 갖춘 증권사로 1970년
yesmard.tistory.com
효성티앤씨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효성티앤씨(298020) 주가 전망 효성티앤씨 기업개요 개요 : 스판덱스, 폴리에스터, 나일론 원사 생산 - 2018년 6월 1일 (주)효성으로부터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화학섬유 및 무역 사업을 주력
yesmard.tistory.com
'주식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항공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2.06 |
---|---|
KB금융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2.05 |
HDC현대산업개발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2.03 |
미래에셋대우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2.02 |
효성티앤씨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