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분석

대우건설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by #$@d 2021. 1. 31.
반응형

대우건설(047040) 주가 전망

대우건설 주가 전망 투자분석
대우건설 주가 전망 투자분석

대우건설 기업개요

대우건설 기업개요
대우건설 기업개요

개요 : 업계 최다 주택공급 달성
- 대우의 건설 부문이 인적분할로 2000년 12월에 신설되었으며, 건축 사업 및 플랜트 사업, 발전 사업을 영위하는 국내 메이저 건설 업체임.
- 동사는 도로, 철도 등 사회기반시설을 건설하는 토목사업과 아파트등을 건설하는 주택건축사업, 석유화학시설 및 발전소를 건설하는 플랜트사업을 영위.
- 부문별 매출은 토목, 주택, 건축, 플랜트, 해외INFRA, 발전, 기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택 및 건축 부문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세계 최대수심, 최장 및 국내 최초 침매터널 공사인 거가대로, 국내 최장 도로터널인 인제터널을 성공리에 관통시키는 등 첨단 기술력을 입증하며 시장선도.
- 종속기업으로 (주)대우에스티, 대우송도호텔(주), 푸르지오서비스(주), 한국인프라관리(주), (주)푸르웰 등을 보유.
- 고부가가치 창출이나 안정적인 수익 발생이 가능한 공종을 추가로 발굴하고, 사업 다각화를 통해 다양한 미래 먹거리를 확보 노력중.
현황 : 매출 감소에도 영업이익률 상승
- 토목 부문의 기성실적 확대에도 주택건축 부문의 매출인식이 감소한 가운데 플랜트 및 신사업 부문의 역성장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 감소.
- 원가구조 저하에도 지급수수료 감소 등에 따른 판관비 부담 완화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 상승, 지분법손실 증가, 영업외수지 저하로 순이익률은 소폭 하락.
- 국내 건설투자 부진에도 기 수주한 주택 부문의 매출인식 확대와 COVID-19로 지연되었던 해외 현장 재개 등으로 매출 회복 일부 가능할 전망.

대우건설 차트

대우건설 주가 일봉차트
대우건설 주가 일봉차트
대우건설 주가 주봉차트
대우건설 주가 주봉차트
대우건설 주가 월봉차트
대우건설 주가 월봉차트
대우건설 주가 1년차트
대우건설 주가 1년차트
대우건설 주가 3년차트
대우건설 주가 3년차트
대우건설 주가 5년차트
대우건설 주가 5년차트
대우건설 주가 10년차트
대우건설 주가 10년차트

대우건설 외국인·기관 순매매 거래량

대우건설 외국인 기관 순매매 거래량
대우건설 외국인·기관 순매매 거래량

대우건설 재무제표

대우건설 재무제표
대우건설 재무제표
대우건설 재무제표(1)
대우건설 재무제표

대우건설 주가 전망

대우건설 주가 전망
대우건설 주가 전망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는 8,000원으로 11% 상향 제시
대우건설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나, 목표주가는 2021년 추정 BPS 상향 요인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기존 7,200원에서 8,000원으로 11% 상향 제시한다. 국내 주택 분양 및 대규모 해외 수주 성과를 통한 뚜렷한 실적 턴어라운드가 이어지는 가운데 과거 대규모 해외 손실로 중단되었던 배당 재개 가능성 역시 기대할 수 있는 요인이다.

체질 개선 가속화 구간 진입, 목표주가 7,700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BUY 유지하며 목표주가는 기존 대비 10% 상향한 7,700원으로 제시한다. 해외사업 체질개선 및 주택 사업 성장성에 근거하여 지속가능 ROE를 기존 8.4%에서 9.0%로 상향조정했다. 동사는 ① 주택/건축부문에서 중장기적으로 높은 외형성장이 지속될 전망이며, ② 해외의 경우 잔고 내 트랙 레코드 양호한 LNG, 신도시개발 비중 상승하며 체질 개선 가속화 될 전망이다. ③ 부채비율하락과 2021년 이후 배당 가능성도 긍정적이다. 업종 차선호주로 지속 제시한다.

대우건설 투자분석

4Q20 Review: 어닝 서프라이즈, 토목/주택/연결종속 양호

2020년 4분기 매출액은 2조 2,914억원 (YoY -1%, QoQ +21%, vs 컨센서스 2.24조원), 영업이익은 2,533억원 (YoY +466%, QoQ +146%, vs 컨센서스 1,15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 기준 시장 기대치 2배에 달하는 어닝 서프라이즈 실현했다. ① 토목 부문 원가율이 93.5%를 기록하며 3분기 누적 원가율 99% 및 4Q19 117% 대비 크게 개선되었고, ② 캐쉬카우 주택/건축부문에서 85%대 양호한 원가율이 지속 되었다. ③ 연결종속에서는 4분기 3,046억원의 매출이 인식 되었는데, 베트남 THT법인에서 아파트 인도 매출 1,300억
원이 인식되었고 (11월부터 입주 파악), 일부 용지 매각에 따른 추가 이익도 반영된 것으로 파악된다.

믿는 구석 1 - 베트남

THT 매출의 경우 당초 $889Mn 매출인식에 $1,507Mn 의 잔여매출이 남아있었는데 1,2 단계 잔여부지 개발 사업(1 단계 2 개 부지, 2 단계 4 개 부지) 확대 추진으로 추가 $817Mn 가량의 매출이 기대된다. 따라서 당초 계획이었던 ‘25년이 아닌 ‘27 년까지 베트남 사업 매출 기여도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더불어 지난해 LH 공사와 베트남 사업협력 MOU 를 체결하면서 4 개의 신도시(년짝 프로젝트 등) 개발 PJT 를 협의중이다.

믿는 구석 2 – 자체 사업

자체사업 분양 물량의 경우 ‘18 년 1,878 세대에서 ‘19 년 2,250 세대, ‘20 년 1,598 세대로 우상향 기조를 보이고 있다. ‘21 년의 경우 자체사업에서 4,104 세대의 (부산범일동 1,363 + 양주역세권 1,152 + 수원망포지구 1,589) 분양이 예상되며 22 년에도 3,400 세대의 분양을 전망한다. 본업 수익성 개선에 추가적인 성장 모멘텀까지 긍정적이다.

미래 성장 그림 그려지는 중

① 2021년 분양 계획은 3.5만세대로 YoY 5% 증가할 전망이며, 상하반기 비중은 5대5로 유사해 보인다. 자체 주택의 경우 아파트 4.1천세대가 연내 분양될 계획이며 (vs 2020년 1.6천세대), 이는 작년 사측이 제시하였던 8천세대보다는 적지만, 그때와 달리 공급 가시성 높은 세대수라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판단한다. 결론적으로 2021년 양호한 주택 분양 (Q)과 4천세대의 자체사업(P, Q) 착공은 2022~2023년 주택/건축 매출 성장의 가시성을 높여갈 전망이다. ② 사측은 향후 3개년에 대한 매출 및 신규수주계획을 제시했는데, 매출의 경우 2021F~2023F CAGR +19% 수준으로 기존 수주잔고의 공정률 본격화 여부가 중요하게 작용할 전망이다. 현재 잔고 규모를 감안 시 최소 단기적인 목표치는 달성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신규수주의 경우 2021~2023F 평균 12.9조원이며, 2020년 신규수주가 13.9조원인 점을 감안 시 마찬가지로 무리한 목표는 아니라는 판단이다.

 

*본 포스팅은 정보전달의 목적으로 작성된 것임을 분명히 명시하며,
종목에 대한 정보의 사실관계는 개인이 판단해야함.
상기 종목의 언급이 투자의 권유가 아니며, 본인의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 또한 지지 않음을 명시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