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림산업(000210) 주가 전망
대림산업 기업개요
개요 : e편한세상, ACRO 아파트 브랜드 보유
- 1939년 설립되어 토목, 건축, 플랜트 등의 공사를 수행하는 건설 사업과 폴리에틸렌 제품 등을 생산하는 석유화학 사업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1999년 NCC 사업을 분사하여 한화석유화학과 여천 NCC를 설립, 엔지니어링 사업과의 시너지 및 건설 부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대림엔지니어링를 흡수합병함.
- 주요 수입원은 자회사로부터 받는 배당 수익, 브랜드 수수료, 임대 수익 등이 있음.
- 연결대상 종속회사들이 영위하는 사업은 석유화학 사업 (디엘케미칼), 에너지 디벨로퍼 사업(디엘에너지), 호텔 사업 (글래드), 자동차 부품 사업(디엘모터스) 등이 있음.
현황 : 매출 증가 및 수익성 상승
- 2021년 1월 4일 대림산업의 인적, 물적 분할을 통해 순수 지주회사로 전환하였음.
- 주택 부문의 매출인식 축소, 제조 및 에너지 부문의 역성장, 비주력 계열사 매각에도 토목 및 플랜트 부문의 기성실적 확대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 증가.
- 지급수수료 증가 등에 따른 판관비 부담 확대에도 원가구조 개선으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 상승, 기타대손상각비 감소 등으로 중단영업손실 발생에도 순이익률 역시 상승.
- 지주사 전환을 위하여 2021년 1월 1일 존속법인 디엘(주)와 건설사업 부문(디엘이앤씨)을 인적분할하고, 유화사업 부문(디엘케미칼)으로 물적분할 예정임.
대림산업 차트
대림산업 외국인·기관 순매매 거래량
대림산업 재무제표
대림산업 주가 전망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12.8만원으로 상향
투자의견 BUY 유지하며, 목표주가는 종전 114,000원에서 신규 128,000원으로 12% 상향한다. 목표 시가총액은 ‘DL㈜’와 ‘DL이앤씨’ 합산 기준 4.4조원이다. ① 기업 분할 진행에 따라 목표주가 산정 방식을 기존 적정 PBR 방식에서 SOTP(Sum of the parts)방식으로 변경했으며, ② 신설 법인 ‘DL이앤씨’에 대해 2021F 목표 PER 6.0배 (vs 2021F PER 대우건설 6.8배, GS건설 6.0배, HDC현대산업개발 5.0배 평균) 적용 및 ③ 존속 법인 ‘DL㈜’에 대해 2021F 목표 PER 5.2배를 (vs 2021F PER 롯데케미칼 6.8배, 대한유화 6.3배, 지주사 구조 감안 Peer 평균 대비 20% 할인) 적용했다. 2021년 주택 공급 확대 기조와 긍정적인 석유화학 시황을 감안 시 분할 이후 기업가치 재평가는 지속 될 전망이다.
DL이앤씨에 대해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60,000원 제시
•DL이앤씨(375500)의 적정 시가총액은 3.1조 원 수준으로 목표주가 16만 원 제시 DL이앤씨 별도 부문과 연결 자회사 대림건설 각각의 2021년 예상 자본총계에 적정배수를 감안해 계산. DL이앤씨는 목표배수 P/B 약 0.7배를 적용해 적정가치 2.66조 원을 산정했으며, 대림건설은 P/B 1.0배를 적용해 적정가치 0.98조 원을 산출한 후 보유 지분율 63.94%와 상장사 할인 30%를 감안해 줌.
• 목표주가 16만 원은 DL이앤씨 연결 기준 P/B 0.73배, P/E 5.2배 수준. 2021년 예상 순이익은 약 6000억 원, ROE는 14.0%로 추정. 현재 KOSPI 건설업은 12M Fwd. P/B 0.66배, P/E 6.1배이며, 동종 업체(GS건설, 대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평균은 P/B 0.75배, P/E 6.2배임.
• DL이앤씨의 목표배수가 경쟁사의 P/B 0.8~0.9배 대비 낮은 이유는 안정적이고 높은 이익 실현에도 불구하고 주택 수주잔고 레벨이 상대적으로 낮고, 최근 분양 공급 증가가 두드러지지 않은데 있음. 따라서 새롭게 상장한 DL이앤씨가 향후 수주 성장, 분양 증가, 개발사업 확대 등 보다 적극적으로 주택 시장에 뛰어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밸류에이션 할인도 해소될 것으로 예상.
대림산업 투자분석
2016~20년 영업이익 3배 성장, 시가총액 3.0조원에서 2.9조원으로 감소 영업이익은 2016년 0.4조원에서 급증하기 시작한 이후 2019년 1조원을 넘어섰고, 2020년은 4분기 서울 숲 오피스 빌딩 매각 차익을 포함할 경우 사상 최대인 1.2조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3배에 가까운 영업이익 성장에도 불구하고, 기업가
치 회복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2020년 9월 회사는 지배구조 강화와 기업가치 제고 방안으로 분할을 발표하였다.
DL E&C의 21년 영업이익 0.8조원 추정 / 기준 시가총액 1.6조원
분할 이후 순자산 3.6조원의 DL E&C(건설)의 영업이익은 0.9조원으로 추정된다. 연평균 1.8만호 수준의 연간 분양물량과 주택 부문의 수익성을 고려하면, 이 수준의 이익이 장기간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0년 12월 이후 건설업종의 주가 반등 국면에서 대형건설업체의 시가총액/영업이익이 평균 4.4x 수준까지 상승한 점을 감안하면 저평가 상태이다. 순수 건설업종 내에서의 Valuation 비교가 가능해짐에 따라 적정 시가총액은 3.2조원(주당165,300원)을 상회할 것으로 판단된다.
DL 지주의 순자본 2.6조원/ 기준 시가총액 1.3조원
DL 지주의 순자본은 2.6조원이며, 지주 업체들의 평균 NAV 대비 할인율 50%를 감안하면 기준 시가총액 1.3조원은 평균적인 Valuation이다. 다만 DL지주의 경우 현재 장부가와 실제 시가와의 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1) 여천 NCC(지분 50%, 장부가 0.4조원, 21년 지분법 이익 1,700억 추정 2) 폴리미래(지분 50%, 장부가 463억, 21년 지분법이익 추정 200억, 3) 카리플렉스의 증설 효과와 가치 4) D타워, 본사 사옥 등 자산에 대한 반영이 일어날 경우 장기적인 주가 상승이 예상된다. 적정 시가총액은 1.6조원(주당 103,600원) 이상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4Q20 Preview: 매출 3.1조원, 영업이익 3,640억원 전망
2020년 4분기 매출액은 분할 전 기준 3조 1,250억원 (YoY +14%, QoQ +41%, vs 컨센서스 3.09조원)을 기록할 전망이며, 영업이익은 3,640억원 (YoY -1%, QoQ +46%, vs 컨센서스 3,770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성수동 아크로 포레스트 내 비주거시설 매각에 따라 4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에서 각각 6,000억원, 1,100억원이 추가 인식될 전망이다.
1/25, DL이앤씨 분할 재상장
• 지난 12월 4일, 대림산업의 인적 및 물적 분할 승인에 따라 2021년 1월 1일부로 대림산업은 DL㈜(존속법인/지주회사)과 DL이앤씨(신설법인/건설 사업회사)로 분할됨. 이에 작년 12월 29일부터 시작된 매매거래 정지 기간을 거쳐 오는 25일에 각 회사가 변경 및 재상장됨.
• 거래정지기간 동안 건설업 주가 상승이 두드러졌음. KOSPI가 12.5% 오르는 동안 건설 업종은 17.1% 상승했고, 종목별로는 대우건설이 38%, HDC현대산업개발, GS건설, 현대건설이 나란히 24%의 상승률을 기록. 사실상 건설업 지수의 반등은 작년 9월 말부터 시작됐는데 대림산업의 분할 결정(9/10) 이후 한 달 동안의 거래정지(12/29~1/24)를 앞두고 상승세로부터 소외된 점을 감안하면 Peer와의 주가 괴리는 더욱 큼. 2020년 10월 이후 주가 상승률은 KOSPI 건설업이 44.9%로 높았고, 주택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4개 대형사 평균은 76.2%에 달함.
• 주택 부문의 최근 현황을 살펴보면, 2020년 주택 신규수주는 별도 기준 목표 5.8조 원을 초과 달성한 5.9조 원을 기록한 것으로 파악되며, 분양 공급은 16800만 세대로 2019년 22644세대보다 감소. 다만, 올해 분양은 약 1.9만 세대로 다시 늘어날 전망이며, 자회사 대림건설의 분양 공급을 합산하면 작년 2.0만 세대에서 올해 2.7만 세대로 증가.
*본 포스팅은 정보전달의 목적으로 작성된 것임을 분명히 명시하며,
종목에 대한 정보의 사실관계는 개인이 판단해야함.
상기 종목의 언급이 투자의 권유가 아니며, 본인의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 또한 지지 않음을 명시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주식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에스디에스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1.24 |
---|---|
삼성엔지니어링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1.23 |
한국가스공사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1.21 |
한올바이오파마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1.20 |
해성디에스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