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009150)
삼성전기 기업개요
개요 : MLCC 글로벌 2위 업체
- 동사의 주요 사업 부문은 수동소자를 생산/판매하는 컴포넌트솔루션 사업부문, 카메라모듈, 통신모듈을 생산/판매하는 모듈솔루션 사업부문, 반도체패키지기판, 경연성인쇄회로기판을 생산/판매하는 기판솔루션 사업부문임.
- 2020년 3분기 매출액은 컴포넌트 솔루션 부문 42%, 모듈솔루션 부문 39%, 기판솔루션 부문 19% 등으로 구성됨.
- 동사의 사업은 카메라 모듈, 통신 모듈 등의 모션솔루션과 MLCC, EMC, TSVC 등 칩 부품의 컴포넌트솔루션, 반도체패키지 기판, 고밀도다층기판 등 기판솔루션으로 구성.
-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부문에서 글로벌 2위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음.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삼성SDI, LG전자, Stats Chippac, 인텔 등임.
- 중국, 태국, 필리핀, 베트남, 미국, 독일, 일본 등 해외 각지에 생산 및 판매를 위한 현지법인을 운영 중이며, 국내외 다수의 종속기업을 보유.
현황 : 매출 정체, 순이익률 하락
- 주요 스마트폰 거래선의 신모델 출시에 따른 MLCC 수요 증가에도 모듈솔루션 부문의 부진 등으로 매출 규모는 전년동기 수준에 정체.
- 영업이익률 전년동기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외환차익 증가 및 법인세비용 감소에도 중단영업이익 감소로 순이익률 전년동기대비 하락.
- 5G 스마트폰의 보급률 가속화 및 대당 MLCC 수요량 증가와 전장용 MLCC의 수요 회복, 신규 mmWave 안테나용 기판의 매출 본격화 등으로 외형 성장 가능할 듯.
삼성전기 차트
삼성전기 외국인·기관 순매매 거래량
삼성전기 재무제표
삼성전기 주가전망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목표주가 220,000원 상향(19%)
- 삼성전기의 목표주가를 220,000원(2021년 주당순이익 X 목표 P/E 22배, P/B 2.6배 적용) 상향(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2021년 상반기 최선호주로 제시. 2021년 영업이익은 1조 1,305억(38.4% yoy). 매출은 9조 5,863억원(14.3% yoy)을 추정, 역사적 최고 실적을 예상. 2021년 추정 영업이익률(11.8%)은 2020년대비 2.1%p 개선, 본격적인 성장 구간으로 판단.
삼성전기 투자분석
MLCC, 카메라모듈, 반도체 기판 등 전 사업 수익성 호조
- 1) 적층세라믹콘덴서(MLCC)의 높은 수익성 유지 전망. 2018년 최고 호황에 유사한 환경이 도래. 2021년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28Ghz 영역의 5G 폰 개화로 MLCC 사용량 증가, 코로나19로 PC(노트북), 태블릿, TV 판매 확대 속에 자동차의 전장화(자율주행)로 MLCC 추가 수요에 힘입어 90% 중반의 높은 가동률 유지로 규모 경제 효과가 극대화 판단. 2021년 IT 기기에서 초소형 고용량의 MLCC 사용 증가는 일본 업체대비 삼성전기 수혜가 더 클 것으로 분석
- 2) 글로벌 카메라모듈 시장에서 폴디드(잠망경)로 성장 주도권을 확보, 삼성전자 적용 모델 확대 및 글로벌 거래선의 추가 확보가 예상. 2021년 스마트폰의 차별화는 1) 폴더블폰 적용 2) 카메라의 고배율 줌 기능 추가 부분을 감안하면 폴디드 카메라 적용이 확대 전망. 삼성전기는 특허의 경쟁력(삼성전자가 코어포토닉스 인수)과 액추에이터(OIS), 렌즈 등 내재화 기술을 보유하였기 때문. 2021년 삼성전자의 갤럭시S21 모델 중 폴디드 카메라 모델 비중 증가, 갤럭시A 시리즈에도 신규 채택 예상. 중국 샤오미가 폴디드 카메라 적용하고 있으며 2021년 비중이 증가 전망. 애플, 오포, 비포 등 글로벌 스마트폰 업체도 폴디드 시장 진출을 준비 중으로 추정
- 3) 2021년 반도체 기판의 제품 믹스 효과 확대 및 신규 투자로 성장성과 수익성을 모두 확보 전망. 대만 UMTC 화재로 FC CSP의 공급부족 발생, 삼성전기가 2021년 최대 수혜로 판단. FC BGA는 서버 및 네트워크의 투자 확대로 수요 증가 속에 공급업체 제한으로 삼성전기가 추가 투자를 바탕으로 점유율 확대를 추진, 고수익성 유지. 또한 28Ghz 5G 스마트폰에 필요한 AIP도 수요 증가에 적극 대응 전망. R/F PCB의 경영효율화를 가정하면 2021년 기판부문의 매출과 수익성은 큰 폭으로 개선 전망
- 4) 2020년 3분기 순차입금(5,243억원)은 1분기(1조 2,116억원)대비 56.7% 감소, 2021년 1.1조원의 영업이익 추정을 감안하면 고수익성 분야(반도체 기판), 새로운 거래선 추가 (카메라모듈)에 대비한 투자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으며, 주가에 긍정적인 요인 판단
• 컴포넌트솔루션: ⓛ 5G 스마트폰 확대(’20년 2.5억대 → ’21년 5.0억대)에 따른 Set당 MLCC 채용량 확대. 주
로 High-end MLCC 위주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는 점에서 일본 경쟁사 및 삼성전기 수혜 ② 전장용 MLCC 비
중 확대(’20년 6% → ’21년 13%). 3Q20 전장용 MLCC 비중은 전방 개선에 따라 이미 8%%대로 회복. IT용
MLCC 대비 3배 비싸 Blended ASP 개선에 긍정적. 아직 수익성은 낮으나 외형 확대에 따른 규모의 경제 기대
• 모듈솔루션: 올해 연말부터 캡티브 고객사향 중저가 모델용 카메라모듈 공급 본격화 ② Huawei 제재에 따른
OVX의 M/S 확대(동사 카메라 매출의 30%가 OVX향) ③ ASP가 높은 Folded Zoom 카메라 매출 확대
• 기판솔루션: ① 적자 사업부 정리 가능성(온기 반영시 EPS +3.8% 효과) ② 우호적인 반도체 기판 수급 환경 유
지. 특히 경쟁사의 공장 화재가 FC-CSP의 수급을 더욱 타이트하게 만들고 있는 상황 → 가격 상승 가능성
*본 포스팅은 정보전달의 목적으로 작성된 것임을 분명히 명시하며,
종목에 대한 정보의 사실관계는 개인이 판단해야함.
상기 종목의 언급이 투자의 권유가 아니며, 본인의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 또한 지지 않음을 명시합니다.
'주식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씨젠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0.12.20 |
---|---|
한국전력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0.12.19 |
롯데칠성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0.12.17 |
HMM 주가 전망 및 투자정보 (0) | 2020.12.16 |
코웨이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0.1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