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004020)
현대제철 기업개요
개요 : 종합 철강 생산업체
- 1953년 6월 설립된 일관제철소로, 인천광역시 중봉대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인천공장, 포항공장, 당진제철소, 순천공장, 울산공장을 운영하고 있음.
- 지배회사와 연결종속회사는 당분기말 현재 철강영업부문(판재, 봉형강, 중기계 등) 및 기타영업부문(반제품, 부산물 등)을 영위하고 있음.
- 고로 부문에서는 현대자동차그룹 내 공동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한편 2013년말 현대하이스코 냉연사업 부문을 분할합병하여 자동차용 강판에 특화된 전문 기업으로 변모함.
- 봉형강 제품과 열연강판, 후판, 냉연강판 등의 판재류, 강관 등 철강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포스코에 이어 국내 철강시장에서 2위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음.
- 현대비앤지스틸, 현대종합특수강 등 국내 업체 3곳과 중국, 미국, 인도, 슬로바키아, 체코, 러시아, 멕시코 등에 다수의 해외 유통 및 생산법인을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
- 매출은 판재 51.63%, 봉형강 33.79%, 반제품, 부산물 외 6.98%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현황 : 매출 감소 및 순이익 적자전환
- 국내 건설투자 위축 등 전방산업 부진으로 내수 판매 감소한 가운데, 글로벌 경기침체와 경제활동 위축으로 해외 지역 판매도 감소하며 전년동기대비 매출 규모 축소.
- 매출 감소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확대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하락, 파생상품평가손실 등 금융수지 저하로 순이익은 적자전환.
- COVID-19 완화에 따른 글로벌 경기회복세로 해외 판매 증가, 국내 건설투자 감소세가 이어지겠으나 자동차, 가전 등 전방산업 회복으로 매출 성장 전망.
현대제철 차트
현대제철 외국인·기관 순매매 거래량
현대제철 재무제표
현대제철 주가 전망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 48,000원으로 상향
동사 목표주가를 기존 35,000원에서 48,000원으로 37.0% 상향한다.
목표주가는 2021년 BPS 12.8만원에 Target P/B 0.37배를 적용해 산출했다. 2021년 영업이익과 순이익 추정치를 각각 28.7%, 24.3% 상향 조정했으며, 개선된 ROE 수준을 고려해 Target P/B도 0.28배에서 0.37배로 상향했다. 현재 동사 주가는 12M Fwd P/B 0.3배 수준에 불과해 밸류에이션 매력은 충분하다고 판단한다.
투자의견 ‘BUY’ 유지, 목표주가는 50,000원으로 상향
현대제철에 대해 투자의견 BUY를 유지하고 실적추정치 상향으로 목표주가를 기존 38,000원에서 50,000원으로 상향한다. 4분기부터 자동차강판 판매량 회복, 그리고 내년 1분기는 추가 가격인상을 통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 현재 주가는 PBR 0.3배에 불과하기 때문에 밸류에이션 부담도 제 한적이다.
현대제철 투자분석
4분기 연결 영업이익 1,029억원(+208.0% QoQ) 전망
동사의 4분기 연결 영업이익은 1,029억원(+208.0% QoQ)을 기록하며 시장기대치에 부합할 것으로 전망한다. 1) 자동차 강판 중심의 판매량 회복과 2) 글로벌 철강 가격 강세에 따른 ASP 상승이 호실적을 예상하
는 주 요인이다. 4분기 판매량은 509.0만톤(+5.0% QoQ), ASP는 고로와 전기로 각각 3.0만원, 2.5만원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철광석 가격이 급등하며 원가부담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강재가격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spread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4분기 판매량 회복과 공격적인 가격인상의 긍정적 효과
2020년 4분기 현대제철의 별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2조원(+1.4%, QoQ +11.2%)과 803억원(YoY 흑.전, QoQ +338.9%)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 확산에도 불구, 자동차용강판 중심의 판재류 판매 회복으로 현대제철의 철강제품 판매량이 502만톤(YoY - 2.1%, QoQ +3.5%)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철광석 가격 상승분 전가를 위한 공격적인 가격인상으로 판재류 ASP가 3만원/톤 상승하며 판재류 스프레드는 1만원/톤 확대될 전망이다. 동시에 봉형강의 경우에도 공격적인 가격인상으로 0.5만원/톤의 스프레드 확대가 예상된다. 그로 인해 4분기 영업이익은 시장컨센서스인 857억원에 거의 부합할 전망이다. 하지만 임단협 협상 관련된 일회성 충당금을 반영할 경우에는 컨센서스를 하회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1H21까지 ASP 상승세 지속 전망
최근 각국 정부의 부양정책과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글로벌 철 강재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철강사들이 2021년 1월 강재 가격 인상을 발표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 업사이클은 2021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통가격 상승이 조선, 자동차, 건설 등 수요처별 가격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며, 내수와 캡티브 비중이 높은 동사의 ASP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21년 1분기에도 공격적인 가격인상 시도 예상
지난 4월을 저점으로 반등에 성공했던 중국 철강 유통가격이 4분기 들어 급등세로 전환했고 12월말 현재 가격은 지난 10년래 최고치에 근접한 수준을 기록 중이다. 이에 4분기부터 공격적인 가격인상을 발표했던 중국의 주요 철강사들이 1월부터 대부분의 판재류에 대해서 큰 폭의 가격인상을 추가로 발표했다. 현대제철 또한 유통향 열연과 일반 냉연 중심으로 1월부터 큰 폭의 가격인상을 발표한 상황으로 1분기에도 2.6만원/톤 수준의 판재류 ASP 상승이 기대된다. 봉형강의 경우에도 최근 철스크랩가격 상승이 부담스럽지만 양
호한 내수 수급 감안 시, 4분기 수준의 스프레드가 유지될 전망이다.
*본 포스팅은 정보전달의 목적으로 작성된 것임을 분명히 명시하며,
종목에 대한 정보의 사실관계는 개인이 판단해야함.
상기 종목의 언급이 투자의 권유가 아니며, 본인의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 또한 지지 않음을 명시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주식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세계인터내셔날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1.02 |
---|---|
세경하이테크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1.01.01 |
한화솔루션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0.12.30 |
OCI 주가 전망 및 투자정보 (0) | 2020.12.29 |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0.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