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228760)
엘지화학 기업개요
동사는 석유화학 사업부문, 전지 사업부문, 첨단소재 사업부문, 생명과학 사업부문, 공통 및 기타부문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공장 및 해외 생산법인에서 각 사업부문의 제품을 생산하고 제품을 신속하게 배송하기 위한 출하부서, 다수의 물류센터, 해외 판매법인 및 지사를 설치 운영 중.
현재 다양한 Global Network를 보유하고 있는 Open Network회사, 국내외 대학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진행함.
엘지화학 차트
2020/03 급락장 이후 실적개선과 함께 우상향을 보여주고 있다.
엘지화학 외국인·기관 순매매 거래량
엘지화학 재무제표
2021년 영업이익은 3.58조원으로 전년 대비 45% 증가 전망
석유화학 부문의 경우 주요 제품의 시황 강세 국면이 지속되며 15%의 마진율 지속 전망
전지 사업은 매출액 50% 증가 전망. 공격적 증설하는 중대형 EVB가 성장을 견인
vs. 2Q20부터 EVB의 흑자 국면 진입했기에 추가적인 수익성 개선 예상(OPM 5%)
→ 전지 사업부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00% 증가를 예상
엘지화학 주가전망
2021년에도 상승 본능이 이어질 것이다. 2021년 예상 실적은 ‘매출액 38.6조원, 영업이익 3.2조원(상반기
1.4조원 → 하반기 1.8조원), 지배주주 순이익 1.8조원’ 등이다. 영업이익은 역사적인 고점이었던 2017년
2.9조원을 8% 초과하는 것이다. 배터리 부문의 잰걸음 성장 속에 ABS 초호황과 여수 NCC 80만톤 증설
효과를 추가로 적용해, 2021년 목표주가를 85만원에서 100만원(시총 69조원)을 예상해본다. 석유화학 사업가치를 계산할 때 적용하는 EV/EBITDA 배율을 6.5배(평균업황)에서 8.5배(초호황)으로 높였기 때문이다.
엘지화학 투자분석
COVID-19 확산에도 견조했던 화학수요, ‘21 년에도 견조하게 유지
올해 시장에서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화학제품은 단연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이다. ABS 는 주로 자동차 내장재 및 휴대전화 등 가전제품의 외장재로 사용되는데, COVID-19 확산 구간에서 가전제품向
수요가 급증하며 ABS 가격이 급등세를 보였다. 이는 미국의 PCE 를 통해서도 확인 가능한데, 지난 ‘20 년 9 월 미국의 자동차 및 부품 PCE(소비)는 5,184 억달러, 자동차 및 부품을 제외한 PCE 도 1 억 4,833 억달러로 역사적 고점을 갱신하였다. 이는 미국의 대규모 부양책에 따른 내구재 수요 증가에 기인한다.
자동차, 가전제품 등 내구재 소비 증가에 기반해 상승한 ABS-Naphtha Spread 는 낮은 재고로 인해 내년에도 견조한 수준을 이어나갈 것으로 판단한다. 지난 ‘20 년 4 월부터의 ABS-Naphtha Spread 급등 구간을
분석해보면, 美 ISM 지수에서 신규주문은 ‘20 년 4 월 27.1pt 에서 10 월 67.9pt 로 급등, 고객재고는 ‘20 년 4 월 48.8pt 에서 10 월 36.7pt 로 급락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규주문 지수 급등은 부양책에 따른 내구재 소비 증가에 기인하였을 것으로 추정하며, 소비 증가에 따라 낮아진 재고가 업황 개선을 더욱 부추겼을 것으로 판단한다. 지난 ’16-18 년에도 신규주문 지수 급등 및 고객재고 감소가 ABS-Naphtha Spread 의 급격한 확대로 이어졌다. ‘21 년에도 각국의 부양책이 이어질 것을 감안, ABS 를 비롯한 화학소재에서의 견조한 업황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전지사업부문 이익 개선세 지속
동사는 최근 3Q20 실적 컨퍼런스콜을 통해 향후 실적 Guidance 를 ‘21 년 매출 18조원 중후반, 영업이익률 Mid-Single로 제시하였다. 이후 ‘24년에는 매출 30 조원 이상에 영업이익률은 High-Single 로 개선될 것으로 언급하고 있다. 올해 전지사업부문 매출이 12-13 조원, 영업이익률 Low-Single 로 추정됨을 감안, 향후 외형 확대 및 이익률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임이 기대된다. 이러한 실적 Guidance 를 뒷받침하 듯 현재 100GW 수준의 중대형 배터리 생산능력이 ‘23 년 200GW 로 확대될 것이며, 현재 25GW 수준인 원통형 배터리 생산능력도 ‘23 년 60GW 로 확대된다.
2021년 전 사업부문 수익성 개선, 특히 기초소재 및 전지부문은 추가 확대 예상
- LG에너지솔루션은 중대형 전지 수율 안정화, ESS 판매량 회복, 원통형 전지 판매 호조의 긍정적 흐름 예상
- 4Q20~1H20 글로벌 경기 회복 모멘텀 속, 동사의 PVC/ABS 등 주력 제품 수익성 확대 예상
- 2H20 No.3 NCC 신규 가동 예정→ 2021년 NCC 업황 호조 속 다운스트림 제품 확장을 위한 원재료 확보
19.12월 LG에너지솔루션 신규법인 출범, 그리고 그 이후의 성장 동력이 더욱 궁금 - 2021년 LG에너지솔루션의 생산능력은 (1) 원통형 전지: 중국 공장 추가 5Gw 증설 계획(고객사 증량)
중대형 전지: 2021년 120Gw로 확대→ 글로벌 No.1 생산능력을 보유, 규모의 경제에서 1위 사업자 프리미엄 - LG에너지솔루션의 실적 추정: 2021년 매출액 16조원, 영업이익 8,355억원(OPM 5.3%)
- 신규 법인 출범 이후 유력 OEM과의 전략적 투자 유치 혹은 향후 IPO를 통한 투자재원 마련 시나리오 가능
*본 포스팅은 정보전달의 목적으로 작성된 것임을 분명히 명시하며,
종목에 대한 정보의 사실관계는 개인이 판단해야함.
상기 종목의 언급이 투자의 권유가 아니며, 본인의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 또한 지지 않음을 명시합니다.
'주식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HMM 주가 전망 및 투자정보 (0) | 2020.12.16 |
---|---|
코웨이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0.12.15 |
대웅제약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0.12.13 |
엘지디스플레이 주가 전망 및 투자정보 (0) | 2020.12.12 |
SK하이닉스 주가 전망 및 투자정보 (0) | 2020.1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