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분석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by #$@d 2020. 12. 28.
반응형

스튜디오드래곤(253450)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전망 투자분석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전망 투자분석

스튜디오드래곤 기업개요

스튜디오드래곤 rldjqrody
스튜디오드래곤 기업개요

개요 : CJENM의 드라마사업부 물적분할
- 2016년 5월 CJ ENM의 드라마 사업본부가 물적분할되어 설립,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미디어 플랫폼에 배급하고 VOD, OTT 등을 통한 유통 및 관련 부가사업을 영위함.
- 해외 로컬 제작사, 방송사들과 파트너쉽을 통해 현지화를 확대 중임.
- 주요 제작 드라마로는 응답하라 시리즈, 도깨비, 아스달연대기, 사랑의불시착 등이 있으며 CJENM의 tvN, OCN과 글로벌 OTT 넷플릭스에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음.
- 완성도와 화제성 높은 드라마를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전통 미디어, 디지털, OTT 등 뉴미디어까지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음.
- 유명 작가와 감독 및 연출 확보를 통해서 우수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으며, CJENM의 판매 대행을 통해 안정적 판매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있음.

현황 : 매출 신장 및 수익성 상승
- 플랫폼 채널 다변화 및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 흥행, 더 킹: 영원의 군주 편성 등과 함께 드라마 해외 판매 증가 등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 신장.
- 원가구조 개선으로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률 상승, 외화 및 파생상품 관련 금융수지 저하 등에도 법인세비용 감소로 순이익률 상승.
- 인기작 비밀의 숲 시즌2 편성 및 넷플릭스 오리지널 스위트홈 편성 등 드라마 제작편수 증가, 해외 진출 확대 등으로 매출 성장세 이어갈 전망.

스튜디오드래곤 차트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일봉 차트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일봉 차트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주봉 차트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주봉 차트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월봉 차트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월봉 차트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1년 차트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1년 차트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3년 차트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3년 차트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5년 차트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5년 차트

스튜디오드래곤 외국인·기관 순매매 거래량

스튜디오드래곤 외국인 기관 순매매 거래량
스튜디오드래곤 외국인·기관 순매매 거래량

스튜디오드래곤 재무제표

스튜디오드래곤 재무제표
스튜디오드래곤 재무제표
스튜디오드래곤 재무제표
스튜디오드래곤 재무제표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전망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전망
스튜디오드래곤 주가 전망

분위기 전환은 확실: 20년, 21년 실적 전망치와 목표주가 108,000원을 유지한다.

그 동안 20년 드래곤 콘텐츠의 부진했던 시청률과 아스달연대기 이후 대작에 대한 불확실성이 주가에 반영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스위트홈으로 콘텐츠 강자 입지를 다시 다진 것으로 판단된다. 21년에는
빈센조, 멸망, 아일랜드 등의 텐트폴 작품이 예정돼있다. 최근 콘텐츠 수요증가로 아이치이, 디즈니 플러스, 애플tv+, 쿠팡 플레이, 티빙, 웨이브 등이 콘텐츠 확보 관련 투자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21년 드래곤을 포함한 국내 컨텐츠 제작사의 수혜가 더욱 가시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단연, 1등 제작사가 가장 클 수 밖에. 투자의견 BUY 및 콘텐츠 업종 내 Top-pick 의견을 유지한다.

스튜디오드래곤 투자분석

스위트홈 선방

넷플릭스 오리지널 스위트홈이 12/18 오픈 이후 글로벌 일일 랭킹 4위, 56개 국가에서 Top 10, 10개국 1위(12/26 기준)를 기록했다. 통상 아시아 지역에는 한국 작품이 대부분 항상 상위권이지만, 미주와 유럽권에도 상위에 기록된 점에서 긍정적이다. 사실 오리지널 작품이기 때문에 콘텐츠 흥행이 기존 마진 외에 단기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없겠으나, 장기적으로 시즌 확장 및 향후 글로벌 레퍼런스, 작품 제작 협상에 있어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4Q20 OP 119억원 전망: 4Q20에는 구미호뎐, 스타트업, 철인왕후(6회), 여신강림(8회), 경이로운소문(8회), 낮과 밤(10회)이 방영됐으며, 국내 편성 판매 및 일부 넷플릭스를 포함한 글로벌 판매가 반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스위트홈도 회당 제작비 약 30억원(10부작), 마진율 20%대로 추정된다. 이를 반영한 4Q20 매출액은 1,377억원(+41.3%yoy), 영업이익 119억원(흑전yoy)으로 전망된다. 3Q20과 같은 중국향 판권 판매는 반영하지 않은 수치이다.

투자포인트 및 결론

-컨텐츠 경쟁력에 기반한 성장세는 지속될 것. Captive를 통한 안정적인 유통채널 확보를 기반으로, 기체결된 넷플릭스와의 공급계약은 물론,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감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판매처 다변화 효과 또한 상존하는 상황
-최근 단행된 NAVER와 CJ 그룹간의 지분 교환 및 사업적 제휴는 양사 모두에게 긍정적인 시너지를 발현시킬 것으로 전망. NAVER가 보유하고 있는 IP를 활용한 컨텐츠 영상화를 통해 더욱 풍성한 제작 라인업을 보유할 수 있기 때문. 이미 공개된 <타인은 지옥이다>를 비롯, <여신강림>, 넷플릭스 오리지널 <스위트홈>, 21년 예정작 <유미의 세포들> 등 스튜디오N과의 협업을 통한 영상화 작업은 꾸준히 진행될 예정임. 장기적으로는 NAVER 플랫폼을 활용한 컨텐츠 유통 확대 또한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주요이슈 및 실적전망

-지난 3분기 중국 OTT향 구작 2편 판매에 따른 성과 반영과, 추후 중국내 방영시 추가 수익 인식에 대한 계약을 체결한 바 있음. 또한 21년 상반기 중 방영 예정으로 중국 OTT향 오리지널 컨텐츠 2편도 제작중인 상황. 만약 본격적으로 한한령 해제가 단행되고, OTT 및 기타 플랫폼들을 통한 중국내 드라마 방영 등 컨텐츠 유통경로가 더욱 확대될 경우, 기판매작의 추가적인 매출인식은 물론 신작에 대한 판로 확보효과까지 얻게 될 수 있을 것. 이는 상대적으로 넷플릭스에 집중 되었던 해외 매출이 다변화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익 레버리지 극대화 측면에서 매우 의미있는 성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전망
-이미 진행되고 있는 중국 OTT향 오리지널 컨텐츠 공급 협상 뿐만 아니라 해외 기타 OTT들과의 컨텐츠 공급 협상의 추이에도 주목해야 할 것. 언택트 트렌드 확산에 따른 OTT의 득세와 더불어, 가입자 확보를 위한 킬러 컨텐츠의 가치는 더욱 높아지는 가운데, 경쟁력이 검증된 K-드라마에 대한 수요 역시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기타 OTT들과의 협상이 원활하게 진행될 것으로 기대하게 만드는 이유
-4분기 매출액은 1,237억원(+27.0% YoY), 영업이익은 122억원(흑전% YoY)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Covid-19 영향에 따른 국내 편성 축소 정상화와,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인 <스위트홈>의 실적이 반영될 것

- 중국 시장: 회사 설립 후 처음으로 4Q20에 중국향 매출 발생. 구작 2편 판매를 통해 약 60억원 수준의
매출/이익 발생 추정. 라이브러리 160편. 작품당 10억원씩만 받아도 1,600억원의 매출/이익 발생
- 신규 시장: 드래곤의 제작 Capa.는 연간 50편 수준. 여전히 20편의 추가 제작 여력이 남아있고, 넷플릭
스에는 연간 7편 정도만 동시 방영. 디즈니+, HBO Max 등 글로벌 OTT로의 추가 공급 여력 충분
* 이익 개선: 넷플릭스에 동시방영권 판매와 오리지널 컨텐츠 공급 시작하면서 마진 개선. 라이브러리의
경우 19년 이전 작품들은 1.5년 상각이 모두 완료되었기 때문에, 중국 시장 재개방에 따른 라이브러리
판매가 본격화되면 마진 개선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 OPM 19년 6.1%, 24E 21.1%

 

*본 포스팅은 정보전달의 목적으로 작성된 것임을 분명히 명시하며,
종목에 대한 정보의 사실관계는 개인이 판단해야함.
상기 종목의 언급이 투자의 권유가 아니며, 본인의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 또한 지지 않음을 명시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정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