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바이오(304840)
피플바이오 기업개요
동사는 변형단백질질환(대표적으로 퇴행성 뇌질환)의 혈액진단제품을 개발 및 제조함.
동사의 주력 제품은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 중 하나인 알츠하이머병조기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혈액검사 제품이 있음.
국내의 경우 보건소, 건강검진센터(전체), 병의원 등 주요 의료기관 채널별 유통 및 영업을 담당할 수 있는 협력사(간납사, 수탁기관, 유통사 등)와 파트너링을 진행 중.
피플바이오 차트
피플바이오 외국인·기관 순매매 거래량
피플바이오 재무제표
피플바이오 주가전망
최근 신규 상장 종목의 우호적인 투자심리와 더불어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 제품의 유럽 CE 인증 획득 등으로 공모가격 20,000원 대비 높은 주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단기 급등으로 인한 밸류에이션 부담 존재하지만, ‘21~’22년 BEP 달성, 파킨슨 진단 제품 출시, ‘22~’23년 국내 보험 급여 적용 등의 모멘텀을 보유하고 있 습니다.
피플바이오 투자분석
저렴하고 편리한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키트 상용화
동사는 자체 개발 MDS(Multimer Detection System) 플랫폼 기술 바탕 퇴행성 뇌질환 혈액진단기술 개발 기업으로 주요 사업은 혈액 기반 알츠하이머병 조기 진단제품 OAβ이 있다. 베타 아밀로이드 응집을 검출하여 혈액진단키트를 상용화하였으며, 경쟁력 있는 가격과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통상 알츠하이머 진단에는 아밀로이드 PET 검사가 사용되는데, 국내는 120~180만원 해외는 $4,000~$5,000 소요로 가격이 비싸고, 방사선 노출 위험도 존재한다. 동사 제품은 10분의 1 가격 수준으로 가격 경쟁력과 혈액 진단으로 환자 편의성도 보유하고 있다.
미국도 알츠하이머 조기 혈액 진단 시장 개화
동사의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 제품 검사 횟수는 현재까지 누적 약 2만건 이상으로 ‘22~’23년경 충분한 데이터가 확보되면 국내 보험 급여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21년 손익 분기점(BEP) 도달, ‘22년 국내 120~150만건 테스트를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11월 유럽 의료기기인증(CE) 획득하여, 국내 시장 안착 및 동남아, 유럽 진출이 기대된다.
반면, 미국은 지난 10/29일 경쟁업체 C2N이 뇌에 아밀로이드 플라그 침착을 예측하는 혈액 진단 제품 PrecivityAD을 미국에 출시하였는데, 60세 이상의 686명 환자 테스트 결과 민감도(Sensitivity) 92%, 특이도(Specificity) 76% 였다. PET 스캔 데이터 기반으로 환자의 86%에서 아밀로이드 플라그를 정확히 검출하여 PET스캔과의 상관 관계가 꽤 높았다. 검사 비용은 $1,250이며, 아직 메디케어/메디케이드 보험은 적용되지 않으나 PET 스캔 대비 저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동사는 국내 52명 환자 대상 검사 결과 민감도 100%, 특이도 92.3%로 물론 C2N 대비 적은 환자 수의 결과이나 우수한 데이터를 보였다. C2N의 PrecivityAD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을 보유할 것으로 예상되어, 진출에
유리한 중국, 동남아, 유럽 등으로 우선 진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알츠하이머 외에도 파킨슨 진단 제품의 ‘21~’22년 국내 승인 및 출시가 전망되어 신제품 출시 모멘텀이 존재한다. 추후 미국에서 C2N의 시장 침투 속도, OAβ의 국내 보험 급여 적용, 출시 국가 확대, 파킨슨 제품 출시 등이 추후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포스팅은 정보전달의 목적으로 작성된 것임을 분명히 명시하며,
종목에 대한 정보의 사실관계는 개인이 판단해야함.
상기 종목의 언급이 투자의 권유가 아니며, 본인의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 또한 지지 않음을 명시합니다.
'주식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지화학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0.12.14 |
---|---|
대웅제약 주가 전망 및 투자분석 (0) | 2020.12.13 |
엘지디스플레이 주가 전망 및 투자정보 (0) | 2020.12.12 |
SK하이닉스 주가 전망 및 투자정보 (0) | 2020.12.11 |
지노믹트리 주가 전망 및 투자정보 (0) | 2020.12.09 |
댓글